노동조합/사회를 보는 눈

대중조직과 정치조직에 함께 출마하는 이유는?

터사랑1 2018. 2. 28. 09:59


6월 13일 광역단체장(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등), 기초단체장(시장, 군수, 구청장 등), 지방의회 의원(시/도 광역의원, 시/군/구 기초의원 등)와 교육감을 선출하는 선거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 선거에 많은 정치세력들이 준비를 하고 있고, 진보정당도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려스러운 모습이 있어서, 글로 남겨 봅니다. 

이 글은 출근하는 버스 안에서 작성하다가 내려서 마무리 한 것을 약간 수정한 내용입니다. 

그리고 사진은 오마이뉴스에서 가져 왔습니다. 




<1987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백기완선생님의 연설모습 - 오마이뉴스에서 가져 왔습니다.>


‘노동자, 민중의 독자적 정치세력화’라는 표현이 나온지 30년이 넘어서고 있습니다. 87년 대선에서 백기완샘이, 88년 총선에서의 ‘민중의 당’을 통해 실현하고자 했던 정치세력화는 2000년 민주노동당을 통해 노동자 대중정당의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하지만 이후 민주노동당의 분열과 이에 따른 행동으로 인해 각종 선거를 치루며. 현장의 혼란은 커져 갔고, 노동자 정치세력화를 ‘출마, 그리고 당선’으로 제한하려는 듯한 시도도 이어졌습니다. 그로인해 조합원을 비롯한 노동자들의 정치의식 고양을 통한 삶과 사회의 변화라는 목표와 방향도 거의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현장 노동자들은 '노동자 정치세력화'를 냉소적으로 바라보는 것도 많은 현실입니다. 


이런 상황에 총연맹 지역조직 임원과 지자체 선거에 동시 출마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지역본부의 임원으로 출마하면서 자신이 속한 정당의 ‘지자체 출마 후보’로 동시에 나선 것입니다. 


이해가 안되는 바는 아닙니다. 

자유한국당이 여전히 뿌리가 깊고, 현직 대통령의 인기에 따른 더불어민주당의 상승으로 진보정당 출신의 지자체 각 단위 출마자 당선이 쉽지 않아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에 따라 출마 희망자도 많지 않겠지요? 


이해가 된다는 것과 현실은 다릅니다. 

조합원들에게 지역 본부의 임원으로 출마하면서 지자체 선거에 동시에 출마한다는 것은, 지자체 선거까지 아니 마무리를 위한 시점까지는 ‘본부 임원으로의 역할’은 사실상 불가능한 것입니다. 


현재 진보를 표방하는 정당이 여럿인 상황입니다. ‘단일화’에 대한 요구가 높고,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속에 ‘현직 임원’으로 그 논의의 대상이 되는게 맞는가라는 의문도 이어집니다. 


그리고 무엇을 하고 싶은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노동조합의 지역조직 임원의 역할이 중요하고, 지자체 의원의 역할도 중요합니다. 그런데 그 두가지를 겸직으로 한다는 건 사실 불가능해 보입니다. 

(물론 자유한국당 소속 도의원 중 현직 한국노총 지역본부 임원도 있습니다. 그런데 그곳과 비교할 바는 아닌 것 같습니다. )

이런 상황에서 두 곳에 동시출마는 어떤 의미이고, 뭘 하고 싶은 것일까요?


가능성 여부를 떠나 ‘지자체 의원’ 선거에 당선이 되면, 그것에 충실해야 하고 결국 지역본부 임원의 역할 수행은 어려워지고 공석이나 보궐선거를 해야 할 상황이 올지도 모르겠습니다. 


간선이고 

다수를 점하고 있기에 당선은 될 것이고

묵묵히(?) 제 걸음을 갈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그것이 어떤 의미일 지 잘 모르겠습니다. 

노동자 정치세력화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 노동조합의 강화에는 어떤 도움이 되는지? 


오히려 조합원들은 양손에 떡을 들고 ‘둘 중 하나는 내꺼야’라는 욕심으로 비치지는 않을지?

이래저래 노동조합도 어려운 상황에서 전체를 반걸음 뒤로 보내는 우를 범하는 것은 아닐지?


이 또한 시간이 지나야 알 수 있을까요?